[출처]
놉! 당시는 [비.상.계.엄.령]이 내려진 상태. 국가적 위기 시 개인 자산이 동결되거나 몰수될 수도 있는 상황. 더구나 암호화폐는 아직 금융상품으로 분류되지도 않고 아니고 원금 보장도 안되는걸요. 계엄의 충격과 공포는 그야말로 ‘현실’.
혼돈의 밤이 지난 후 시장엔 온갖 루머가 떠돌고 있는데요.
🚫 “한국인이 판 물량을 외국인이 다 쓸어 담았다”
국내 거래소는 국내에 살지 않는 외국인의 거래소 가입을 허용하지 않아요.
국내 체류 증명서가 있는 외국인만 제한적으로 거래소 가입이 가능한데요. 물론 이렇게 가입한 외국인이 해외 거래소 ↔ 국내 거래소를 오가며 시세차익을 냈을 수도 있지만요. 이건 해외 거래소를 쓰는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가능한 일.
외국인이 한국 거래소 가입하는 것 보다 한국인이 해외 거래소 가입하는 게 더 쉬워요.
🚫 “큰 손, 기관 투자자가 팔았다”
한국 일반 법인의 암호화폐 거래소 계좌 개설은 사실 불가능.
지난 11월 국정감사에서 밝혀진 자료에 따르면 국내 거래소에 개설된 법인 계좌는 단 47개뿐. 이 중 39개의 계좌는 모두 정부 부처 소유고요. 나머지는 가상자산 사업자(거래소)예요. 국민연금도 암호화폐에 직접 투자하지 못하고 해외 주식 시장을 통해 간접투자 하고 있는걸요.
🚫 “누군가의 계획된 작전이다”
시세도 각각 다르고, 운영방침도 제각각인 암호화폐 거래소를 동시에요?!
작전으로 한국 암호화폐 시장 전체를 흔드는 일은 불가능해요🙅🏻♀️🙅🏻♂️ 한국만큼 금융망이 철저하게 관리+감시 되는 나라가 흔치 않기 때문인데요.
▪ 타인의 명의로 은행 계좌를 만들 수 없고요 → 금융 실명제
▪ 내가 내 은행 계좌 만들기도 힘들고요 → 대포통장 개설 막자
암호화폐 거래소는 더 엄격해요. 지난 2022년 3월 금융거래정보법(특금법)에 따른 트레블룰(Travel Rule) 시행으로 입,출금은 모두 모니터링 되고 있어요.